당뇨병은 혈중 포도당(당) 수치가 높은 것이 특징인 만성 질환입니다. 신체가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생산하는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혈당 수치를 조절하고 포도당이 체내 세포로 들어가 에너지로 사용되도록 합니다. 당뇨병이 있으면 신체가 혈당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어 고혈당증(고혈당)이 발생합니다. 장기간의 고혈당 수치는 다양한 건강상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기, 혈관 및 신경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유형의 당뇨병이 있습니다.
목차
1. 당뇨병의 종류
2. 당수치 기준
3. 당뇨병 증상
4. 당뇨병에 좋은 음식
1. 당뇨병의 종류
1. 1형 당뇨병: 이 유형은 면역 체계가 실수로 췌장의 인슐린 생성 세포를 공격하고 파괴할 때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평생 인슐린 치료가 필요합니다.
2. 제2형 당뇨병: 이 유형은 대부분의 경우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의 당뇨병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인기에 발생하지만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증가합니다.
2. 당수치 기준
- 정상: 공복 혈당 수치가 100 미만
- 당뇨병 전단계: 공복 혈당 수치가 100~125mg/dL(5.6~6.9mmol/L) 사이
- 당뇨병: 공복 혈당 수치가 126mg/dL(7.0mmol/L) 이상인 경우
3. 당뇨병 증상
당뇨병의 3대 증상은 다음, 다식, 다뇨입니다.
체중감소, 시력 저하, 피로감 및 무기력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혈당이 높아지면 소변으로 당이 빠져나갑니다.
이때 포도당이 신장을 통해 다량의 물을 끌고 나가기 때문에 소변을 많이 보게 됩니다.
4. 당뇨병에 좋은 음식
당 대사를 촉진해 체내 포도당을 수치를 낮춰주는 계란, 닭고기, 우유 등 비타민 B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아연도 인슐린을 생성해 필요한 영양소인데 풍부한 음식으로는 굴, 붉은 고기, 땅콩 등이 있습니다. 음식으로 보충이 어렵다면 영양제로 보충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현미, 율무, 해조류 등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은 혈당을 서서히 올려주어 좋습니다.
또 폭식과 과식은 당 수치를 급격하게 올리기 때문에 식사는 조금씩 여러 번에 나누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대사증후군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이라고 한 가지만 있는 게 아닙니다. 당신은 어떤 당뇨병이신가요? (0) | 2023.10.02 |
---|---|
혈압 90정도는 괜찮지 않아?! (0) | 2023.07.20 |
대사증후군과 운동 (1) | 2023.07.10 |
당뇨병 검사는 이렇게 (0) | 2023.07.06 |
대사 증후군 식사 이런게 궁금하셨나요? (0) | 2023.07.03 |